지난 포스팅에서 파이썬 내장 함수 len list map 에 대해서 공부해 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내장 함수 max min oct open ord pow range 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64. 파이썬 내장 함수 len list map
- 63. 파이썬 내장 함수 hex id input int isinstance
- 62. 파이썬 내장 함수 enumerate eval filter
파이썬 내장 함수
max
내장 함수 max 는 반복 가능한 데이터(iterable) 를 인수로 입력을 받아 그 중 최대값을 리턴을 해주는 함수 입니다.
>>> max([2, 4, 6])
6
>>> max("python")
'y'
>>>
min
min 함수는 max 함수와는 반대로 최소값을 리턴을 해주는 함수입니다.
마찬가지로 반복 가능한 데이터를 인수로 입력을 받습니다.
>>> min([2, 4, 6])
2
>>> min("python")
'h'
>>>
oct
oct 함수는 이전에 공부했던 hex 와 비슷합니다.
hex 는 16진수 문자열을 리턴을 한다면 oct 는 8진수 문자열로 변경해서 리턴을 하게 됩니다.
>>> oct(34)
'0o42'
>>> oct(12345)
'0o30071'
>>>
open
open 내장 함수는 open(filename, [mode])의 형태로 이루어 지며 ‘파일 이름’과 ‘읽기 방법’ 을 입력 받아서 파일 객체를 리턴을 하는 함수 입니다.
읽기 방법(mode)은 생략이 가능하며, 생략을 할 경우에는 기본값인 읽기 모드(r)로 파일 객체를 만들어서 리턴을 하게 됩니다.
open 내장 함수의 mode
w : 쓰기 모드로 파일 열기
r : 읽기 모드로 파일 열기
a : 추가 모드로 파일 열기
b : 바이너리 모드로 파일 열기
이처럼 네 가지 모드 중에서 b 모드는 w, r, a 모드와 함께 사용이 됩니다.
>>> f = open("binary_file", "rb")
위 코드에서 rb 는 ‘바이너리 읽기 모드’ 를 의미합니다.
ord
ord 내장 함수는 입력 받은 문자의 유니코드 숫자 값을 리턴을 해 주는 함수 입니다.
ord 함수는 이전에 공부했던 chr 함수와 반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 ord('a')
97
>>> ord('가')
44032
>>>
pow
pow 내장 함수는 두 개의 입력값 x, y 를 받아서 x 의 y 제곱을 한 결과값을 리턴을 해 주는 함수 입니다.
>>> pow(2, 4)
16
>>> pow(3, 3)
27
>>>
range
range 내장 함수는 for 문과 함께 자주 사용되는 함수 입니다.
range([start,] stop[,step]) 형식으로 입력을 받게 되며 입력 받은 숫자에 해당하는 범위 값을 반복 가능한 객체로 만들어서 리턴을 하게 됩니다.
인수가 하나일 경우
start 에 해당하는 시작 숫자를 지정해 주지 않을 경우 range 함수는 0 부터 시작을 하게 됩니다.
>>> list(range(5))
[0, 1, 2, 3, 4]
>>>
인수가 2 개일 경우
입력으로 2 개의 인수를 주어질 경우 2 개의 인수는 시작 숫자와 끝 숫자를 나타내게 됩니다.
끝 숫자는 해당 범위에 포함이 되지 않습니다.
>>> list(range(5, 10))
[5, 6, 7, 8, 9]
>>>
인수가 3 개일 경우
인수가 3 개일 경우는 위의 2 개일 경우에 step 즉, 숫자 사이의 간격을 말합니다.
>>> list(range(1, 10, 2))
[1, 3, 5, 7, 9]
>>> list(range(0, -10, -1))
[0, -1, -2, -3, -4, -5, -6, -7, -8, -9]
>>>
위 코드를 보시면 range(1, 10, 2) 에서 1 이 시작 숫자, 10 이 끝 숫자, 2 가 step 을 의미합니다.
1 에서 10 까지 10 을 포함하지 않는 범위에서 1 다음 2 간격을 주고 3, 다시 2 간격을 주고 5 이런식으로 리스트를 만들어 리턴을 해주었습니다.
- 이 포스팅은 ‘위키독스’ 의 ‘점프 투 파이썬‘ 전자책을 구매하여 독학하기 위한 자료로 작성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