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서 윈도우 재설치 하는 방법(윈도우10 설치)

혼자서 윈도우 재설치 하는 방법(윈도우10 설치)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가끔 한번씩은 윈도우 재설치 가 필요할때가 있습니다.
자의든 타의든 간에 말이죠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윈도우10 재설치를 할줄 안다면 윈도우11 재설치는 아주 쉬울겁니다.(별반 차이가 없기에…)

어떤 경우 윈도우 재설치를 할까?

오늘 멀쩡하게 잘 사용하던 컴퓨터가 C드라이브 용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뭔가 이상하다 싶어서 V3를 이용해 전체 검색을 해봤습니다.
헉 이게 뭔가요


Trojan/Win32.Miner.R215613 이라는 진단명으로 잔뜩…..
심지어 해당하는 폴더에 들어가보니 계속해서 폴더가 초단위로 생성되고
그 안에는 알수없는 프로그램들의 소스가 잔뜩….
지워도 계속 늘어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나름 컴퓨터를 좀 만져봤다고는 해도 이런 경우가 갑자기 닥치니 저도 당황해서 스크린샷 찍을 생각은 못했네요.
그나마 V3 검역소에 남아있던걸로 인증을 해보고
생각난 김에 윈도우 재설치 하는 방법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윈도우 재설치 하는 경우의 아주 좋은 본보기죠

윈도우10 재설치

윈도우의 경우 설치방법이 그리 어렵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막상 설치하려고 보면 부팅가능한 USB(예전에는 CD로 했으나…)를 만들어서 진행을 해야하는데
막상 윈도우10 설치 를 위해 부팅가능한 USB 가 있다고 하더라도 몇번 해봐서 익숙한 사람이 아니라면 지레 겁을 먹기 마련이죠

윈도우10이 부팅가능하도록 되어있는 USB를 넣고 부팅을 하게되면 아래처럼 윈도우 설치 화면이 나옵니다.
설치할 언어, 시간, 통화, 키보드 등 이 나오는데 기본 셋팅되어있는 그대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윈도우 라이선스 동의

라이선스에 대해서 나오는데 동의함을 체크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윈도우 설치용 이미지 파일에 따라 조금 다를 수가 있는게 완전 순정으로 받으신다면 정품인증에 관해 나올 경우 당장 윈도우10 키가 없다면
일단 넘어가고 나중에 하는걸로 해서 넘어가시면 됩니다.

설치 유형 선택

다음으로 업그레이드 인지 사용자 지정 인지가 나오는데 업그레이드의 경우 기존에 설치되어있는것에 덮어씌운다고 보시면 됩니다.
처음 상태로 깨끗하게 시작하려면 사용자 지정을 선택해서 넘어갑니다.

설치 위치 지정

하드디스크 …. 아니 SSD 를 처음 셋팅하게 되면 이렇게 할당되지 않은 공간이라고 나옵니다.

새로 만들기를 클릭 해줍니다

저의 경우 가상환경에서 진행을 하기에 그냥 전체 크기를 적용해보겠습니다.

파티션을 나누는 경우

그러나 저의 경우 실제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파티션을 무조건 하나는 더 만듭니다.
그래서 C드라이브에는 기본 윈도우와 각종 프로그램이 설치되게끔 하고
추가로 만들어지는 D드라이브에는 다른 필요한 자료들을 저장해놓습니다.

나중에 문제가 생겨 윈도우 재설치를 해야할경우에 이제까지 소중한 자료를 다 잃어버리면 아깝자나요?
물론 백업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예 D드라이브를 만들어서 자료들은 모두 D드라이브 백업을 하는게 더 수월합니다.

그런데 모르시는 경우에 됐고 난 그냥 윈도우 재설치만 하면 돼! 하시는 분은 그냥 넘어가시면 됩니다.

원래대로라면 아래 화면에서 포맷을 하고 넘어가는게 정석이지만 이제는 아주 먼 옛날 얘기가 되어버렸죠
그냥 다음으로 넘어가시면 윈도우 설치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포맷을 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윈도우 설치파일 복사 진행중~

자 이제 윈도우10이 들어있는 USB에서 파일들을 복사해 내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입니다.
복사가 끝나면 기본 설치들을 진행하고 윈도우설치화면에서 ‘서비스를 시작하는 중’ 이라는 문구가 나옵니다.

잠시뒤 국가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오는데 굳이 영문 윈도우로 사용할게 아니면 한국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자판배열에 대해서 물어보는데 기본 Microsoft 입력기로 해서 넘어가시면 됩니다.

두번재 키보드 레이아웃을 추가할거냐고 묻는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그냥 건너뛰기 하시면 됩니다.

이제 윈도우 설치프로그램이 윈도우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기본 업데이트도 진행이 됐다면 개인용인지 조직용인지 물어보는데 집에서 내컴퓨터에다 하신다면 그냥 개인용으로 아니면 조직용으로 하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Microsoft 로그인 화면이 나오는데 MS 계정이 있으시다면 계정으로 하셔도 되고 그냥 오프라인 계정을 하셔도 됩니다.
저는 제한된 환경으로 해서 진행을 해보겠습니다.

사용할 사용자계정 이름을 넣어주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됩니다

장치의 개인정보 설정 선택

다음으로 장치의 개인정보 설정선택 화면이 나오는데 저의 경우는 다 꺼버립니다.
여지껏 굳이 사용 필요성을 못느꼈네요
하지만 개별적으로 음성인식이나 위치 같은 경우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해당 옵션만 선택해서 켜두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수락을 하고 넘어가면 몇분정도 걸린다는 멘트가 나오네요

그럼 이후에 윈도우 재설치가 마무리 되면서 바탕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거의 대부분이 그냥 다음 다음 수락 다음 이런식으로 넘어가는 형태이기때문에
지레 겁먹지 말고 다음에 또 윈도우 재설치 할 경우가 생긴다면
잘 해결하실수 있길 바랍니다.

5. 파이썬 문자열 연산, 포매팅, 인덱싱, 슬라이싱

5. 파이썬 문자열 연산, 포매팅, 인덱싱, 슬라이싱

문자열 연산

숫자형 이 아닌 문자열의 경우에도 연산을 할수 있습니다.
문자열의 연산은 문자열을 더해서 연결하거나 문자열을 곱해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문자열 더해서 연결하기(Concatenation)

Python
top = "smartdev"
bottom = ".kr"
top + bottom

문자열을 더해서 연결하는 방법은 단순합니다.

문자열 곱하기

문자열을 곱한다고?
막상 문자열을 곱한다고 하면 의문이 들지만 역시 단순하게 생각하면 단순합니다.

Python
print("=" * 50)
print("Python test")
print("=" * 50)

위 소스를 test.py 에 적용한뒤 저장후 실행을 해보면
아래처럼 출력이 됩니다.
프로그램 제목같은걸 출력할때 보기 좋게 출력할때 사용하면 될거 같습니다.

문자열 길이 구하기

문자열의 길이는 len 함수로 구할수 있습니다.
기본 내장 함수이기 때문에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까 사용한 top 라는 변수에 저장된 문자열의 길이를 확인해보겠습니다.

Python
len(top)

smartdev 라는 문자열의 길이인 8 을 출력해줍니다.

문자열 인덱싱(Indexing)

Python
a = "New habits will unlock new destinies"
     0         1         2         3
     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
                          543210987654321

파이썬에서는 0부터 숫자를 시작합니다.
New 의 N 은 0 번째 문자입니다.

Python
a[0]

위 문장은 a 라는 변수안에 있는 문자열에서 특정한 값을 뽑아내라는것입니다. 0 번째 문자를 뽑아내는걸 의미합니다.
이런 작업을 인덱싱(Indexing) 이라고 합니다.

Python
a[5]

Python
a[12]

Python
a[-1]

Python
a[-5]

a[-1] 은 문자열의 뒤에서부터 인덱싱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문자열 슬라이싱(Slicing)

파이썬 문자열에서 한 개의 문자를 뽑아내는것이 아니라 한 개의 단어 .
예를 들어 위 문장에서 habits 라는 단어나 unlock 이라는 단어를 뽑아내는 방법을 문자열 슬라이싱 이라고 합니다.

Python
a[4:10]

a[4:9] 가 아니라 a[4:10] 으로 하는 이유는 끝번호에 해당하는 것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Python
a[23:-10]

위의 슬라이싱 예는 23 번째 ‘n’ 부터 -10 번째는 제외하고 끝에서부터 거꾸로 11 번째 까지가 됩니다.

문자열 슬라이싱 으로 문자열 나누기

Python
a = "20230326Rainy"
date = a[:8]
weather = a[8:]
date
weather

위 예제에서 date 는 a 의 문자열에서 8을 기준으로 처음부터 8 번째를 포함하지 않는, 즉, 0 부터 7번째까지
weather 은 8 번째를 포함해 이후까지 를 나누는 방법입니다.

문자열 슬라이싱으로 문자열 바꾸기

Python
a = "kiyboard"
a[1] = "e"

위 예제처럼 문자열에서 a[1] 에 해당하는 ‘i’ 를 ‘e’ 로 바꾸려 하면 오류가 납니다.
이럴때 문자열 슬라이싱 기법으로 변경을 할수 있습니다.

Python
a[:1]

Python
a[2:]

Python
a[:1] + 'e' + a[2:]

이렇게 문자열 슬라이싱 으로 새로운 문자열을 만들수가 있습니다.

문자열 포매팅(Formatting)

문자열 포매팅 이란 문자열의 특정한 값을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지금 시간은 5시입니다.’
시간이 지나 7시가 되었을때
‘지금 시간은 7시입니다.’라고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5 라는 숫자를 7 로만 변경해준겁니다.

문자열에 숫자 바로 대입

Python
"I eat %d strawberry." % 5

여기서 %d 를 문자열 포맷 코드 라고 합니다.

문자열 바로 대입

Python
"I eat %s strawberry." % "three"

여기서는 %d 가 아니라 %s 를 사용했습니다.
숫자는 %d, 문자열은 %s 를 사용합니다.

숫자를 입력한 변수로 대입

Python
number = 3
"I eat %d strawberry." % number

2개 이상의 값 넣기

Python
number = 50
day = "three"
"I eat %d strawberry. I had a stomach ache for %s days." % (number, day)

위 예제처럼 2개 이상의 값을 넣을때에는 마지막 % 뒤에 괄호와 콤마로 각각의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문자열 포맷 코드

숫자형과 문자열 외에도 여러가지 포맷 코드가 있습니다.

코드 -  설명
%s - 문자열 (String)
%c - 문자 1 개 (character)
%d - 정수 (Integer)
%f - 부동소수 (floating‑point)
%o - 8 진수
%x - 16 진수
%% - Literal % (문자 % 자체)

이중에서 %s 는 자동으로 % 뒤에 있는 값을 문자열로 바꿔주기때문에 어떤형태의 값을 넣더라도 입력이 가능합니다.

Python
"I eat %s strawberry." % 3

Python
"I eat %s strawberry." % 3.55

문자열 안에서 ‘%’를 표현해주고 싶다면 ‘%%’ 를 사용해야 합니다.

Python
"The margin of error is %d%%." % 10

4. 파이썬 기초. 파이썬 자료형 에 대해 알아보자

4. 파이썬 기초. 파이썬 자료형 에 대해 알아보자

자료형이란?

자료형이란 간단히 말해 프로그램을 작성할때 사용되는 숫자나 문자열 등의 자료형태로 사용되는 모든것을 말합니다.
자료형은 프로그램의 기본이고 핵심 단위입니다.

파이썬 자료형 으로 숫자형, 문자열 자료형 그리고 이스케이프코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파이썬 숫자형

숫자형(Number)이란 숫자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12345 같은 정수, 123.45 같은 실수
그리고 몇번은 들어봤을 2진수, 16진수, 8진수 같은 것도 모두 숫자형 입니다.
파이썬에서 숫자형은 아래와 같이 표현합니다.

  • 항목 : 표현
  • 정수 : 12345, -12345, 0
  • 실수 : 123.45, -123,45, 3.4e10
  • 8진수 : 0o34, 0o25
  • 16진수 0x2a, 0xFF

정수형(Integer)

정수형(Integer) 은 정수를 말합니다.
정수에는 양의 정수, 음의 정수가 있죠.

아래는 a 라는 변수에 정수를 입력하는 에입니다.

Python
a = 123
a = -123
a = 0

실수형(Floating-point)

실수형(Floation-point) 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입니다.

아래는 a 라는 변수에 실수를 입력하는 예입니다.

Python
a = 1.2
a = -3.45

아래는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입니다.
e 와 E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Python
a = 3.14E10
a = 3.14e-10

3.14E10 는 3.14 * 1010
3.14e-10 은 3.14 * 10-10 을 말합니다.

8진수(Octal) 와 16진수(Hexadecimal)

8진수와 16진수는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자료형 중 숫자형 이니 알고만 계셔도 상관은 없을듯 합니다.
8진수(Octal) 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숫자 0 + 알파벳 소문자 o 또는 알파벳 대문자 O 로 시작하면 됩니다.

Python
a = 0o177

16진수(Hexadecimal) 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숫자 0 + 알파벳소문자 x 로 시작하면 됩니다.

Python
a = 0x8ff
b = 0xABC

숫자형 을 활용한 연산자

사칙연산

프로그램을 모른다고 하더라도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는 기본적으로 알고들 계시는 거라 생각합니다.
이런 사칙연산을 잘하지는 못한다하더라도 모른다면 일상생활에도 지장이 있을거예요.

파이썬 에서는 아래와 같이 사칙연산을 진행합니다.

Python
a = 3
b = 4
a + b
Python
a - b
Python
a * b
Python
a / b

제곱연산

파이썬에서는 x 의 y 제곱 을 표시할때 ** 을 사용합니다
x ** y 이렇게요

제곱연산자 ** 을 사용해서 연산을 해보겠습니다

Python
a ** b

나눗셈 후 나머지 값을 반환하는 연산자

파이썬에서는 나눗셈 후 나머지를 반환하기 위해 %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7 을 3 으로 나누면 몫은 2 가 되고 나머지는 1 이 됩니다.
3 을 7 로 나누면 몫은 0 이 되고 나머지는 3 이 되겠죠.

Python
7 % 3
Python
3 % 7

나눗셈 후 몫 값을 반환하는 연산자

나눗셈 후 몫 값을 반환하는 연산자 // 도 있습니다.
7 을 4 로 나누면 몫은 1 이 되겠죠.

Python
7 / 4

나눗셈 후 몫을 반환하는 // 을 사용해봅니다

Python
7 // 4

몫 값에 해당하는 정수 1 만 반환하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String) 은 문자나 단어 등으로 구성되어진 문자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a"
"123"

위 예문처럼 큰따옴표(“”)로 둘러싸여 있는 것은 모두 문자열이라고 합니다.
문자열은 큰따옴표만 있는 건 아닙니다.
작은따옴표(”)를 사용애서 양쪽을 둘러싸거나
큰따옴표를 3개 연속 사용해서(“””) 양쪽 을 둘러싸거나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작은따옴표 3개를 연속 사용해서(”’) 양쪽을 둘러쌀수도 있습니다.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문자열에 작은따옴표를 포함시키기 위해서 큰따옴표 안에 작은따옴표를 사용하면
큰따옴표 안에 작은 따옴표는 문자열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Python
food = "Python's favorite food is perl"
food

반대로 큰따옴표를 문자열에 포함시키고 싶으면 작은따옴표로 양쪽을 둘러싸고 큰따옴표를 그 안에 넣을수 있습니다.

Python
say = '"Python is very easy." he says.'
say

백슬래시()를 사용해서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 문자열에 포함시키기

문자열을 작성할때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 앞에 백슬래시()를 사용하면 백슬래시 다음에 나오는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는 문자열을 둘러싸는 기호가 아닌 문자 그자체로 인식하게 됩니다.

Python
food = 'Python\'s favorite food is perl'
say = "\"Python is very easy.\" he says."

여러줄 문자열을 변수에 삽입

줄바꿈 이스케이프 코드 \n 삽입

Python
multiline = "Life is too short\nYou need python"

연속된 작은따옴표 3개(”’) 나 큰따옴표 3개(“””) 사용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 3개를 사용해서 출력하는 방식은 터미널에서는 적용이 안되어

test.py 에서 디버그/실행 해봤습니다.(비쥬얼스튜디오코드 에서 Ctrl + Alt + n)

Python
multiline =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Python
multiline =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print(multiline)

이스케이프코드

백슬래시()와 소문자 n 의 조합으로 줄바꿈을 했는데 이런문자를 이스케이프코드 라고하는데 이는 프로그래밍할때 사용할수 있도록 미리 정해둔 문자의 조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출력을 보기좋게 정렬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n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
\t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
\ 문자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작은따옴표 (')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큰따옴표 (")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r 캐리지 리턴 (줄 바꿈 문자, 현재 커서를 가장 앞으로 이동)
\f 폼 피드 (줄 바꿈 문자, 현재 커서를 다음 줄로 이동)
\a 벨 소리 (출력할 때 PC 스피커에서 ‘삑’ 소리가 난다)
\b 백 스페이스
\n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
\t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
\ 문자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작은따옴표 (')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큰따옴표 (")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r 캐리지 리턴 (줄 바꿈 문자, 현재 커서를 가장 앞으로 이동)
\f 폼 피드 (줄 바꿈 문자, 현재 커서를 다음 줄로 이동)
\a 벨 소리 (출력할 때 PC 스피커에서 ‘삑’ 소리가 난다)
\b 백 스페이스
\000 널 문자
0 널 문자

이중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들은 \n, \t, \, \’, \” 입니다.

3. 파이썬 아나콘다 설치로 가상 환경 설정. Why?

3. 파이썬 아나콘다 설치로 가상 환경 설정. Why?

지난 포스팅에서 간단하게 파이썬에 대한 맛보기를 진행해봤습니다.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의 터미널을 이용해서 내컴퓨터에 설치되어있는 파이썬의 버전도 확인해보고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기 위한 pip 문도 사용해봤습니다.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터미널에서 파이썬을 구동시켜 간단한 기초실습도 해봤습니다.

아나콘다 설치 이유

이번에는 파이썬 아나콘다 설치로 파이썬 가상 환경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가상 환경 설정 을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면
파이썬으로 이것저것 코딩을 하다 보면 각종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하게 되는데
종종 필요한 라이브러리가 설치된 파이썬 버전과 호환이 안되거나
어디서는 설정을 이렇게 해놨는데 다른 데서는 다른 설정을 사용해야 한다거나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전체를 다 지우고 새로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수도 있는데
이런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프로젝트 단위별로 가상 환경 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해결할수가 있습니다.
이런 가상 환경 을 위해서는 아나콘다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아나콘다 설치

아나콘다 홈페이지에 접속해 다운로드를 진행하고 아나콘다 설치 를 진행합니다.

아나콘다 홈페이지

https://www.anaconda.com


PATH 관련해서만 체크해주고 그냥 설치 진행을 하면 됩니다.

아나콘다 가상 환경 설정

설치가 되었으면 가상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아나콘다 명령프롬프트나 파워셸을 이용할수도 있지만
그냥 아나콘다 프로그램에서 바로 진행을 해보겠습니다.

아나콘다를 실행해 주고 Environments 에 보면 아래에 Create 라는 버튼이 보입니다.

Create 를 클릭해주고 나오는 창에서 파이썬 가상 환경 이름을 넣어줍니다
저는 py_study_3110 이라고 해줬습니다.
밑에 Package 에는 Python에 체크를 해주고 옆에 드랍다운 밗스에서 파이썬 버전을 선택해줍니다.
저는 3.11.0 으로 진행해보겠습니다

생성된 파이썬 가상 환경을 클릭해보면 Open Terminal 이라고 나오는데 클릭해 보시면 터미널 창이 뜨면서 새로 설정한 가상 환경이 설정되었음을 알수 있습니다.

파이썬 비주얼스튜디오 아나콘다 연동

자 이제 새로 만들어진 가상 환경에서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Home 으로 이동하신 뒤에 Application on 옆에서 새로 만든 가상 환경 이름을 클릭해줍니다.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밑에 Launch 를 클릭해 실행해줍니다.

파일을 임의로 하나 만들어보겠습니다.

지난번에 진행해봤던 파이썬 인터프리터 를 연동해봅니다.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에서 Ctrl + Shift + p 를 눌러서 python interperter 라고 검색해서
python 인터프리터 를 선택해줍니다.

다음으로 우리가 설정한 가상환경을 선택해주면 연동은 마무리 됩니다.

Ctrl + ` 버튼을 눌러 터미널을 활성화 해봅니다.

터미널에서 자동적으로 conda Activate py_study_3110 이라고 가상 환경을 활성화 해주네요

그럼 아래 상태표시줄에 파이썬 버전 과 새로 만들어진 가상 환경 – python 3.11.0(‘py_study_3110’:conda) 으로 연동설정이 되었음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파이썬의 버전을 확인해 볼까요?

python -V

아나콘다에서 설치해준 파이썬 버전 3.11.0 이 정상적으로 나오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아나콘다 명령어

아나콘다 버전 확인

anaconda --version

아나콘다 정보 확인.

conda info

이외에 아나콘다 를 사용하면서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를 몇개 살펴보겠습니다

  • conda clean – 설치된 패키지를 모두 삭제하는 명령입니다
  • conad create – 아나콘다에서 우리가 클릭 클릭 으로 생성해줬던 가상환경을 만들어 주는 명령입니다
  • conda config – 아나콘다의 설정보기와 새로운 설정이나 수정등을 하기 위한 명령입니다
  • conda list – 설치된 패키지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입니다
  • conda remove – 설치된 패키지를 삭제하는 명령입니다
  • conda search – 설치된 패키지를 조회하는 명령입니다

이외에도 많은 명령어들이 있지만 지금 당장 써야 하는것도 아니고 이런게 있다는 정도만 알아둬도 좋을거 같습니다

2. 파이썬(Python) 기초실습, 기초문법

2. 파이썬(Python) 기초실습, 기초문법

파이썬(Python)을 마스터하기 위한 여정의 시작

지금 여기서 이 포스팅을 보고 계신분은 파이썬(Python)으로 어떤걸 해보고 싶으신가요?
전 파이썬(Python)으로 이것저것 해보고 싶은게 많습니다
그중 우선적으로 해보고 싶은거는 웹크롤링 ㅎ

원래 하는일이 폐쇄적인 환경에서 일을 하다보니 웹쪽으로는 전혀 연관이 없는데
이렇게 인터넷에다 글을 쓰고 있는걸 보면 전 폐쇄적인 환경을 별로 안 좋아하는거 같아요

파이썬(Python)을 혼자 독학으로 공부한답시고 책도 빌려보고 유튜브 영상도 보긴 했었는데
종이책은 본지 좀 돼서 반납한뒤 기억도 잘 안나고
유튜브 영상도 마찬가지로 진득하게 이어나가야 하는데 보다 끊기고 보다 끊기고, 시간 지나서 또 까먹고
이제는 인터넷에 공유하면서 저의 지식도 쌓아가보려 합니다
그래서 방금 점프투파이썬 전자책(E-Book)도 결제했네요

이제 본격적으로 파이썬(Python)의 기초실습도 해보고 기초문법도 다시한번 되새김질 해보려합니다.

https://wikidocs.net/book/1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터미널에서 파이썬 구동

지난 포스팅에서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를 설치하고 파이썬(Python)도 설치 해봤고 print 문도 사용을 해봤습니다
이제부터 파이썬(Python) 기초실습을 들어가 보겠습니다
점프투파이썬 전자책에서는 기본적으로 파이썬 셀(Python Shell) 이라고 하는 대화형 창에서 실습을 하지만 전 지난번 설치한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에서 진행을 해보겠습니다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에는 자체 터미널 기능이 있어서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안에서 해결하면 됩니다


터미널이 안보이신다면 아래 이미지 처럼
메뉴 – 터미널 – 새 터미널. 단축키는 Ctrl + Shift + `

아니면 메뉴 - 보기 - 터미널. 단축키는 Ctrl + `

터미널 화면이 작으시다면 아래 이미지 처럼 마우스로 창크기를 조절이 가능합니다

먼저 지금 설치되어있는 파이썬(Python)의 버전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볼게요

python -V

지난번 설치한거 때문에 현재날짜기준 최신버전인 Python 3.11.2 이 설치되어있네요

나중에 각종 라이브러리들을 추가 설치할때 필요한 pip 명령어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pip

pip 에 대해 이것저것 많은 내용이 나오네요

화면을 지우고 싶으면

clear

pip 에도 버전이 있습니다. pip 버전을 확인하려면

pip -V

설치되어있는 라이브러리를 보고 싶으면

pip list

새로 설치한거인데도 업데이트를 하라는 문구가 나옵니다.
pip 가 최신버전이 아닌가봅니다
업데이트를 진행해보겠습니다
pip list 라고 입력했을때 나오는 결과에 있는 명령어를 복사해서 그대로 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python.exe -m pip install --upgrade pip

Ctrl _ c -> Ctrl + v

다시한번 pip 버전을 확인해보면 정상적으로 업데이트가 진행 된걸 확인할수 있습니다

파이썬(Python) 기초실습

터미널에서 python 이라고 입력하시면 파이썬 대화형 인터프리터가 실행됩니다
프롬프트라고 하는 3개의 꺽은 괄호 ‘>>>’ 가 나왔다면 정상입니다
이제 보여지는 대화형 인터프리터에서 간단한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python

사칙연산 테스트

3 + 4
5 / 1.5
7 * 4
5 - 2

변수에 숫자 입력하고 연산

a = 5
b = 4
a + b
a * b
a / b
a - b
파이썬(Python) 기초실습-사칙연산

사칙연산 내용은 다들 알거라 패쓰~

변수에 문자 입력하고 출력

a = "hello"
b = "smartdev"
print(a)
print(b)

a 라는 변수에 “hello”, b 라는 변수에 “smartdev” 를 입력하고 각각 출력

print(a + " " + b)

a변수 와 공백 한개 와 b변수를 합쳐서 출력

조건문 if

a = 5
b = 4
if a > b:
  print("a는 b보다 큽니다.")
파이썬(Python) 기초실습- 조건문 if

파이썬 대화형 인터프리터 제어

대화형 인터프리터 화면 지우기

import os
os.system("cls")

대화형 인터프리터 를 종료하고 싶으면

Ctrl + z

파이썬(Python) 기초문법과 기초실습 마무리

간단하게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에서 터미널로 파이썬(Python)을 구동해
사칙연산부터 조건문 그리고 파이썬 대화형 인터프리터의 기본제어까지 진행해봤습니다
앞으로 공부해야할게 무궁무진 하네요

파이썬(Python) 코드 입력 플러그인을 함 써봤는데 영 맘에 안드네요 !

1. 파이썬(Python) 입문부터 이론과 실행환경 구축 –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1. 파이썬(Python) 입문부터 이론과 실행환경 구축 –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파이썬(Python) 입문

오늘부터 파이썬(Python)을 입문부터 시작해서 좀 심도있게 파보려고 합니다
물론 파이썬을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부터 설치를 해야겠죠

오래전부터 파이썬 파이썬 많이들 얘기하고 공부시작하시는 분들도 많이 봐오고
실제로 파이썬(Python)을 이용해 여러가지 개인적으로 프로그램을 만드시는 분들
기업에 유통시키기 위한 거대 프로그램을 만드시는 분도 봐왔었는데
막상 제가 혼자 공부를 하려니 책한번 훑어보면서 따라해보고 했는데
그냥 그때분…
시간이 지나서 다시 또 해보려고 하면 얼핏 그냥 ‘아 그때 봤던거 같은데…’ 정도밖에 기억 안나는…

그래서 이곳에 기록도 남길겸 혹시나 저같은 분들을 위해서 하나하나 기록을 해볼까 합니다
이럴때마다 생각나는건 학교다닐때 놀지말고 공부 좀 할껄…하는 생각이 절로 드네요

파이썬(Python) 간단한 이론

파이썬은 인터프리터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인터프리터 언어란 코드를 한줄씩 읽어 내려가면 실행한다는 의미입니다
인터프리터 언어와 대조적인 언어는 컴파일러 언어가 있습니다
컴파일러 언어란 코드를 작성하고 이것을 컴퓨터가 알수있는 언어로 번역(컴파일)을 해서 실행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파이썬(Python) 입문부터 이론과 실행환경 구축 -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파이썬(Python)은 1991년도에 네덜란드의 프로그래머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 이라는 분이 만들었습니다
무려 1989년도 크리스마스 주에 연구실이 닫혀서 심심해서 만들었다고 하네요
정말 능력자중에 능력자인듯합니다

이름도 본인이 즐겨보던 영국의 6인조 코디미 그룹 몬티 Python 에서 따왔다고 하네요
만들어진 배경부터 네이밍까지 모두 쉽게 쉽게 해서 그런듯 문법도 상당히 쉬운편입니다
물론 고급레벨로 가면 점차 어려워지는건 어쩔수 없겠지만요

파이썬(Python) 실행하기 위한 환경

파이썬(Python)을 처음에 배우게 된다면 일단 파이썬을 설치하고 IDLE 이라는 에디터에서 코딩을 하게됩니다
구글 코랩 이나 쥬피터노트북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면 웹상에서도 개발이 가능하고 심지어 공유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개발을 진행하게 되면서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부터 오류처리나 긴 장문의 코딩까지 진행을 하고 학습이 아닌 제대로된 개발을 하려한다면
좀더 효율적인 에디터로 해주는게 좋고 대표적으로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l Studio Code) 가 있습니다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l Studio Code) 는 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텍스트에디터 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ㅎ

저도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를 통해서 파이썬(Python) 실행환경 을 구축하고 입문부터해서 심도있게 진도를 나가보려합니다
웹버전도 있기는 하지만 웹버전에서는 터미널을 사용할수 없기에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진행을 해보겠습니다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설치


다운로드 할수 있게 직관적으로 잘 나오네요
고민없이 바로 다운로드 해줍니다


설치과정은 심플하게 다음과 같은 추가작업선택 화면에서만 PATH에 추가 확인후 다음 다음 다음….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실행

이제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메인 화면이 떴습니다
저는 원래 설치가 되어있었는데 포스팅할려구 일부러 지웠….

여기서 열린 폴더가 없다하니 폴더를 하나 편하신곳에 만들어서 비주얼스튜디오코드(Visual Studio Code) 에서 열어줍니다


그럼 폴더와 폴더 작성자 신뢰하냐구 물어보는데 당연히 신뢰해야죠…이제 내가 작성자인데 ㅎ

이제 폴더는 열렸으니 파일을 하나 추가해줍니다. ~~~.py 로요


자 이제 드디어 파이썬으로 코딩 시작입니다
시작은 역시 print(“hello”) ㅎ

실행을 위해 F5를 눌러줍니다

파이썬(Python) 설치

혹시나 파이썬을 별도로 설치 안해두셨다면 이렇게 오류가 나옵니다

Python 인터프리터 선택 을 클릭하시면 파이썬을 설치할수 있는 창이 열리니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다시 Python 인터프리터 를 선택 해줬습니다

이제 결과가 나왔죠?

윈도우의 명령프롬프트 를 실행해서 python 을 입력했을때 python이 터미널에서 실행된다면 이제 열심히 코딩 할일만 남았네요

혹시나 한글이 안되시는 분들은 아래처럼 비주얼스튜디오코드 마켓플레이스에서 Korean Language Pack for~ 를 설치하고 재실행 해주시면 됩니다

불편한 윈도우 탐색기 대신 Q-dir 파일관리 프로그램

불편한 윈도우 탐색기 대신 Q-dir 파일관리 프로그램

불편한 윈도우 탐색기

일반적으로 윈도우를 사용하시면서 파일들을 찾아보거나 폴더를 찾아들어갈때 윈도우에 기본 내장되어있는 탐색기를 이용해 작업을 합니다
윈도우가 나온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변하지 않고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그냥 윈도우에서 제공해주는 윈도우 기본 탐색기를 사용합니다
폴더를 한두개만 열고 닫고 이전으로 갔다가 다시 가고 하시는 분들은 윈도우 탐색기를 사용해도 크게 불편한점은 못느끼실수도 있습니다
그냥 원래 이렇게 써야하니 그냥 쓰면 되지…하는게 대부분의 사용자 분들의 마음일겁니다


그런데 폴더를 한두개가 아니라 그 이상으로 열었다 닫아야 하고, 이렇게 열어놓은 폴더를 탐색기를 여러개 띄워놓고 작업을 하다보면 헷갈리기도 하고 이래저래 불편한 점이 생길수 밖에 없습니다

Q-dir 을 사용하는 이유

저는 몇년 전부터 Q-dir 이라는 프로그램을 써왔는데 한번 다운로드 받아놓으면 굳이 업데이트를 하지 않아도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 없이 사용할수 있기에
그냥 업데이트 거의 안하고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거나 컴퓨터를 새로 샀을 경우에만 최신버전으로 설치해주고 그렇지 않으면 그냥 계속 사용하는 편입니다


Q-dir 의 경우 라이센스도 무료라이센스 이기 때문에 사무용으로든 개인용으로든 그냥 편하게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저의 경우 여기저기 제 컴퓨터가 아니라 옮겨다니면서 써야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럴 경우에도 라이센스 걱정없이 사용할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한글이 지원이 되어 메뉴들에 대해 파악하기가 쉽습니다


하지만 그것보다 Q-dir 을 제가 쓰는 가장 큰 이유는 윈도우 탐색기 처럼 폴더 하나를 열고 뒤로가기 했다 다른 폴더를 열어보려면 또 탐색기 하나 더 띄우고 하는게 아니라
한 화면에서 4개까지 창을 분할해서 폴더를 관리 할수 있고, 파일 유형별로 색깔로 구분해줘서 파일 관리가 수월하며 크롬이나 익스플러로 같은 웹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것처럼 탭으로 창을 추가해서 열어놓고 사용할수가 있어서 입니다.


설정하는 부분도 크게 많이 손보지 않고 설정해놓으면 윈도우 기본탐색기보다 좀더 보기 좋고 수월하게 파일관리나 폴더관리를 할수 있습니다

Q-dir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하는 방법 및 설치방법

아래는 Q-dir 공식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접속하셔서 다운로드페이지로 이동하신뒤 보면 여러가지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우리가 필요한 Q-dir 을 클릭해줍니다

http://www.softwareok.com

Q-dir 다운로드 페이지에서는 인스톨버전과 포터블버전이 나누어져 있는데
Q-dir 포터블 버전은 설치없이 그냥 압축풀고 바로 실행하면 되는 버전이고
설치버전은 기존 다른 프로그램들처럼 설치 후 실행하는 버전입니다.
취향껏 다운로드 받으셔서 실행하시면 됩니다


참고적으로 요즘 대부분의 컴퓨터들은 윈도우가 64비트버전을 사용하므로
Q-Dir_Installer_x64.zip for 64-Bit (x64) Windows 를 선택해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설치버전의 경우)


내 컴퓨터의 윈도우가 64비트 인지 32비트인지 모르시는 분들은
윈도우 키 + Pause Break 키(숫자키패드 왼쪽위에 위치) 로 시스템정보 창을 열어보시거나
윈도우 시작 메뉴 버튼을 클릭 하셔서 설정에 들어가셔서 ‘시스템’ – ‘정보’ 로 들어가시면 ‘장치사양’ 에서 ‘시스템 종류’를 보시면 알수 있습니다

Q-dir 설치방법

다운로드 받은 버전이 포터블 버전이라면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따로 설치없이 압축을 푸신 다음에 Q-dir.exe 파일을 실행하면 바로 실행이 됩니다
설치 버전의 경우 다운로드 받은 설치파일을 실행해 주신뒤 경로를 원하는 경로로 변경하신뒤(그대로 설치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설치를 실행해 주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습관적으로(?) C:\Program Files 에 설치를 진행해 주었습니다

Q-dir 설정방법

포터블버전이든 설치버전이든 그냥 그대로 사용하셔도 무방하긴 하지만 저의 경우에는 몇가지는 설정을 해주고 사용을 하는 편입니다.


간단하게 몇개의 설정만 진행해 보겠습니다


추가기능(기타) – 목록보기 – 색상필터 사용
추가기능(기타) – 목록보기 – 격자선 표시
추가기능(기타) – 목록보기 – 확장자 표시


추가기능 – 제목표시줄 – 선택한 파일 (객체)의 전체 경로 표시


추가기능 – 탭 – 항상 표시
추가기능 – 탭 – 왼쪽-마우스 두번 클릭으로 닫기


그리고 화면 분할을 선택해서 사용 해주시면 됩니다

화면분할의 경우 여러가지가 있으니 입맛대로 골라서 설정하시면 됩니다

위의 설정들과 마찬가지로 추가기능(기타) 의 시작화면에서 고르시거나 상단 우측에 보시면 종류별로 화면분할이 나와있습니다

Q-dir의 다운로드. 설치. 설정을 마무리하며

불편한 윈도우 탐색기 대신 Q-dir 파일관리프로그램 의 다운로드 방법과 설치방법, 간단한 기본설정까지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생소하고 불편하다고 생각하실수도 있는데 몇번 사용해서 익숙해지면 윈도우 탐색기가 불편해서 Q-dir을 자꾸 사용하게 되실수도 있습니다
크게 4분할을 사용하지 않고 2분할로만 사용해도 윈도우탐색기보단 편하고 보기 좋게 사용하실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이상으로 Q-dir의 다운로드부터 설치방법과 간단한 기본설정까지 마무리하며 계속해서 좋은 정보들로 채워나가겠습니다

윈도우11 작업표시줄 변경. ExplorerPatcher 다운로드와 설치. 사용방법

윈도우11 작업표시줄 변경. ExplorerPatcher 다운로드와 설치. 사용방법

윈도우11 작업표시줄을 윈도우10으로 변경하는 ExplorerPatcher 다운로드와 설치. 사용방법

여러분은 어떤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계시나요?
애플의 맥북 을 사용하시는 분이 아니라면 대부분 아직 까지는 데스크탑PC 에서 또는 노트북에서 대부분 윈도우10 을 많이 사용하고 있을겁니다

최근에 컴퓨터를 새로 구매해서 컴퓨터가 최신형이고 OS가 기본 장착이 되어있다면 현재는 윈도우11 이 설치가 되어서 나오겠지만
기존에 컴퓨터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면 아마도 윈도우10을 계속 사용하고 계시겠죠

개인적으로는 불편한 윈도우11의 작업표시줄

그런데 항상 운영체제가 업그레이드 되고 나면 처음엔 새로운 운영체제의 인터페이스에 적응을 못해 헤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이제는 윈도우10 에 너무 익숙해져 버려서 인지 윈도우11 의 전체적인 디자인은 맘에 들어도 작업표시줄은 아직도 적응이 잘 안됩니다
그래서 이것저것 만져보려고 해도 도무지 작업표시줄은 어떻게 바꿀수가 없더라구요
이렇게 바뀐 윈도우11의 작업표시줄을 좋아하시는 분은 좋아하실수도 있는데 전 영 어색하네요

그래서 또 누군가 능력있으신 분들이 ExplorerPatcher 라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만들어놨습니다
ExplorerPatcher를 사용하면 윈도우11의 작업표시줄 화면을 이전에 사용하던 윈도우10의 친숙한 작업표시줄 화면으로 바꿔줄수가 있습니다.

물론 이 한가지 기능만 제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단 저에게 그리고 또 이 포스팅을 찾아오신 여러분들께 제일 시급한 문제는
윈도우11의 작업표시줄 화면이 아닌 이전에 사용하던 윈도우10의 작업표시줄 화면을 원하는것이겠죠

ExplorerPatcher 다운로드

ExplorerPatcher 를 다운로드 하고 설치하는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ExplorerPatcher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github 라는 사이트에서 바로 다운받으실수 있습니다
링크는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들어가시면 됩니다

https://github.com/valinet/ExplorerPatcher

github 라는 사이트는 해외 사이트이다보니 이런 사이트를 처음 접해 보신분들은 당황 하실수도 있지만
하나 하나 따라해보시면 금방 설치하실수 있으니 잘 따라와주세요~

먼저 보이시는것처럼 github 의 ExplorerPatcher 카테고리에 접속을 합니다
접속된 화면에서 오른쪽에 보면 최신버전의 ExplorerPatcher 가 보입니다
오늘날짜로는 22621.1413.54.3 이 Latest – 최종버전이네요
최종버전을 클릭해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아래로 스크롤을 좀만 내리면 ep_setup.exe 설치파일이 보입니다
아래의 source_code는 ExplorerPatcher의 소스파일이니 위해 필요하시다면….

ExplorerPatcher 설치방법

다운로드 받은 폴더로 이동하셔서 다운로드 받은 ep_setup.exe 파일을 클릭해서 설치를 시작해줍니다

윈도우11에서는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수 있는데 겁먹지 마시고 추가정보를 클릭한뒤에 실행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잠시뒤 바탕화면이 몇번 깜빡거리는걸 볼수있습니다
이제 ExplorerPatcher 설치가 허무하게 잘 끝나버렸네요

ExplorerPatcher 사용방법

이제 ExplorerPatcher 가 설치가 다 되었으니 본격적으로 사용을 해볼 차례입니다
ExplorerPatcher 를 열어보면 아시겠지만 메뉴도 많고 설정하는것들이 꽤 많아 보입니다
하지만 오늘 여기서는 윈도우11의 작업표시줄만 바꿔보겠습니다

작업표시줄의 빈공간에서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클릭한뒤 나오는 메뉴에서 속성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윈도우11 관련 속성이 아니라 ExplorerPatcher 의 속성 화면이 나옵니다
너무 자연스럽게 윈도우11의 속성처럼 숨어 들어있네요

제일 위에 Taskbar 메뉴 옆에 보시면 Taskbar style : Windows 11 (default) 라고 되어있는데 여길 클릭해서 Windows 10 으로 변경해 줍니다

그럼 또 다시 화면이 잠시 깜빡거리면서 짜잔~
드디어 그리웠던 윈도우10의 작업표시줄 처럼 변경이 되었습니다

시작메뉴도 바꾸고 싶다면?

윈도우11의 시작메뉴가 혹시라도 맘에 안들어서 작업표시줄 처럼 윈도우10의 시작메뉴로 바꾸고싶다면
Start menu 에서 작업표시줄에서 했던것과 마찬가지로 Windows 11 (default) 라고 되어있는것을 Windows 10으로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윈도우11 작업표시줄을 윈도우10으로 변경하는 ExplorerPatcher 다운로드와 설치. 사용방법을 마치며

간단하게 ExplorerPatcher 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까지 알아봤습니다
ExplorerPatcher 는 아직 한글패치는 없는듯 하더라구요
그래도 직관적이고 나름 쉽게 메뉴구성이 되어있어 좀만 찾아보면 금방 적용할 수 있는것 같습니다
윈도우11 을 사용하면서 작업표시줄 때문에 고민이었다면 ExplorerPatcher 로 고민이 해결되셨길 바랍니다
ExplorerPatcher 의 또다른 내용은 추후에 시간이 된다면 포스팅 하도록 해보겠습니다

  • 작업환경 : 윈도우11 / OS빌드 : 22621.1413 / ExplorerPatcher : 22621.1413.54.3